본문
안드로이드 어플 및 문자메시지 DB 확인하기
[그림 1] 미래 예측의 가장 중요한 부분에서 짤렸다..
포토관상이라는 어플을 받았다. 지난번에 다른이가 해줬을때 결과를 읽고선 '오 이거 그럴싸한데?' 하고 생각했는데 내 관상결과를 내가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이 좀 그래서, 그리고 다시 자세히 읽어보려고 받아보았다. (별로 믿지도 않으면서) 셀카찍는건 별로 안좋아해서 몇년전에 포샵처리된 증명사진파일을 모니터에 대고 찍기로 했다. 이상하게 카메라에서 안찍고 일반 사진 파일을 불러오려고 하면 오류가 뜨는데 이건 수정되어야 할 문제인것 같다. 아무튼 과도한 포샵으로 윤곽이 많이 죽었지만 다행이도 인식을 하고 결과를 보여주었다. 지난번에 했던것과는 다른 결과라서 주욱 읽어가고 있는데 두번째로 생각할 수 있는 진로와 직업.... 에서 짤려벼렸다.(x10 미니의 힘!) 미술쪽은 꽝이라 첫번째 진로는 바라지도 않는데... 그래서 이를 알기 위해 직접 어플리케이션 DB에 접근하기로 한다.
바로 말하자면, 포토관상 어플의 결과 DB는 /data/data/com.inforus.kwansang/databases/kwansang.db 에 저장되어 있다. 물론 이곳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Root Explorer등의 특수 어플/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 안드로이드의 기본 데이터베이스는 sqlite3을 기반으로 하기 떄문에 sqlite를 읽어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처음 시도한 프로그램은 'SQLite Database Browser' 로서, 무료 공개 소프트웨어이다. 여기에서 db 파일을 읽어온 후 Browse Data 탭에서 TB_RESULT 테이블을 선택하면 아래에 포토관상의 지난 결과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왕 분석을 시작한것, 문자메시지 위치에 대해서도 확인하기로 했다. 대부분의 안드로이드 폰은 문자메시지를 /data/data/com.android.provider.telephony/databases/mmssms.db 이곳에 저장한다. pdu 테이블은 mms, sms 테이블은 sms를 의미한다. 또한 mms 파일은 /data/data/com.android.providers.telephony/app_parts/이곳에 저장된다. 안드로이드 앱간의 정보 공유에 대해서는 Content Provider를 사용하여 'content://sms/inbox'와 같은 형태로 접근하면 되며, 이것은 검색을 통해 알아볼 수 있다. 단 이전 포스팅(Content Provider를 사용할 때 유의해야 할 점)에서도 적어놓았다시피 안드로이드 SDK외의 주소에 접근하면 기기간의 호환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것을 명심해야 한다.
아무튼 mmssms.db파일을 SQLite Database Browser으로 읽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일반 텍스트 편집기에서도 파일을 읽어 내용을 볼 수 있는데 못읽을 이유는 없었다. 그래서 다른 SQLite 프로그램을 찾아보니 'SQLiteSpy'라는 프로그램이 있었다. 개인적인 용도로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었고, 실행시켰더니 SQLite Database Browser보다 더욱 직관적이고 간편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심지어 설치도 필요없는 단일 실행파일로 되어있다! 아래에 SQLiteSpy를 통하여 SMS를 확인하는 화면을 올려놓았다.
포토관상이라는 어플을 받았다. 지난번에 다른이가 해줬을때 결과를 읽고선 '오 이거 그럴싸한데?' 하고 생각했는데 내 관상결과를 내가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이 좀 그래서, 그리고 다시 자세히 읽어보려고 받아보았다. (별로 믿지도 않으면서) 셀카찍는건 별로 안좋아해서 몇년전에 포샵처리된 증명사진파일을 모니터에 대고 찍기로 했다. 이상하게 카메라에서 안찍고 일반 사진 파일을 불러오려고 하면 오류가 뜨는데 이건 수정되어야 할 문제인것 같다. 아무튼 과도한 포샵으로 윤곽이 많이 죽었지만 다행이도 인식을 하고 결과를 보여주었다. 지난번에 했던것과는 다른 결과라서 주욱 읽어가고 있는데 두번째로 생각할 수 있는 진로와 직업.... 에서 짤려벼렸다.(x10 미니의 힘!) 미술쪽은 꽝이라 첫번째 진로는 바라지도 않는데... 그래서 이를 알기 위해 직접 어플리케이션 DB에 접근하기로 한다.
바로 말하자면, 포토관상 어플의 결과 DB는 /data/data/com.inforus.kwansang/databases/kwansang.db 에 저장되어 있다. 물론 이곳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Root Explorer등의 특수 어플/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 안드로이드의 기본 데이터베이스는 sqlite3을 기반으로 하기 떄문에 sqlite를 읽어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처음 시도한 프로그램은 'SQLite Database Browser' 로서, 무료 공개 소프트웨어이다. 여기에서 db 파일을 읽어온 후 Browse Data 탭에서 TB_RESULT 테이블을 선택하면 아래에 포토관상의 지난 결과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왕 분석을 시작한것, 문자메시지 위치에 대해서도 확인하기로 했다. 대부분의 안드로이드 폰은 문자메시지를 /data/data/com.android.provider.telephony/databases/mmssms.db 이곳에 저장한다. pdu 테이블은 mms, sms 테이블은 sms를 의미한다. 또한 mms 파일은 /data/data/com.android.providers.telephony/app_parts/이곳에 저장된다. 안드로이드 앱간의 정보 공유에 대해서는 Content Provider를 사용하여 'content://sms/inbox'와 같은 형태로 접근하면 되며, 이것은 검색을 통해 알아볼 수 있다. 단 이전 포스팅(Content Provider를 사용할 때 유의해야 할 점)에서도 적어놓았다시피 안드로이드 SDK외의 주소에 접근하면 기기간의 호환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것을 명심해야 한다.
아무튼 mmssms.db파일을 SQLite Database Browser으로 읽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일반 텍스트 편집기에서도 파일을 읽어 내용을 볼 수 있는데 못읽을 이유는 없었다. 그래서 다른 SQLite 프로그램을 찾아보니 'SQLiteSpy'라는 프로그램이 있었다. 개인적인 용도로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었고, 실행시켰더니 SQLite Database Browser보다 더욱 직관적이고 간편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심지어 설치도 필요없는 단일 실행파일로 되어있다! 아래에 SQLiteSpy를 통하여 SMS를 확인하는 화면을 올려놓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