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The New Green Leaders : 새로운 친환경 대통령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 1] 5월 첫째주 뉴스위크 커버


새로운 친환경 대통령들.
친환경 운동이 정부를 뒤바꿔 놓았다. 누가 이 새로운 게임에서 승리할 것인가?

1년도 안남은 임기내에, 미국 대통령 조지부시는 그린피스 인증을 받을 수 없을 것이다. 그는 결국 2001년 그의 첫 공식적인 활동에서 본다면, 도쿄 의정서를 거부하여 탄소 방출량을 줄이고자하는 노력으로부터 미국을 제외시킨 사람이다. 그는 또한 회의적인 의회에게 “알래스카 북극 야생동물 보호구역을 석유 시추 사업을 위해 개방하는 것은 국가 안보를 위하여 필수적인 사항”이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최근, 부시는 바뀌고 있다... 글쎄, 녹색이 아니라면, 적어도 라임색이나 연두색 정도는 될거다. 4월 중순께에 부시는, 미국은 탄소방출 목표치를 맞추는데 최선을 다할 것 이라고 밝혔다. 부시는 또한 30년만에 처음으로 자동차 연비기준을 높이는 데 서명하였고, 대체 연료를 채택하였다. 임기 말기에 환경에 대한 부시의 인지 뒤에는 어떤 요인이 숨어있을까?

대답은, 여론에 있다. 환경문제는 미국인의 마음속에 불안하게 다가왔다. 2007년 Pew Global Attitude Project에 따르면, 37퍼센트의 미국인들은 ‘환경문제가 최우선의 국제적 위협’으로 생각하였는데, 이는 5년전의 수치와 비교하여 61퍼센트가 상승한 것이다. 이런 환경에 대한 여파를 알고, 부시는 그가 “전 세계에 닥친 환경문제를 무시한 가장 마지막 대통령”으로 역사책에 기록될 위험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민주당 대통령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과 버락 오바마, 뿐만 아니라 공화당 후보인 존 맥케인 모두는, 탄소 방출량을 줄이고자하는 “탄소 배출권 제한제” 등으로 환경 변화를 되돌려 놓겠다는 야심찬 계획에 찬성하며 대선에 나섰다.

환경 문제는 미국에서만 느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Pew Global Attitude Project는 46개의 다른 나라들도 조사하였는데, 세 나라(요르단, 레바논, 코르티부아르)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에서 2002년과 2007년 사이에 환경문제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는 것을 밝혀냈다. 2007년을 기준으로, 70퍼센트의 중국인 그리고 45에서 66퍼센트 사이의 서유럽인 들은 환경문제를 국제적 최우선과제로 생각하였다. 인도, 브라질, 그리고 다른 거대한 개발도상국 사람들도 그 문제에 대해 중요히 생각하였다. 이것을 과학자들이나 알 고어의 유세 갬페인에서의 “최후의 날의 폭풍“에 대한 예견 때문으로 원인을 돌려도 좋다. 어떻든 간에 이것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국제적인 환경 친화적인 대통령에 대한 요구와, 지구에 닥친 어려운 문제들을 해결하기위해 그러한 대통령들에게 유래 없는 지지를 던지는 유권자들을 설명한다. 또한 이는 교토의정서가 발의된 이후의 중국과 인도도 포함될만한 현재 상황에 대해 대화할만한 동기를 제공하여 준다.

자신의 친환경 정책이 가치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하는 대통령들은 아마 북쪽을 바라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환경 기술’보다 ‘대구’로 더 유명한 아이슬란드에서는, 놀랍게도 전체 소비량의 80퍼센트의 에너지를 수력, 지열발전소 같은 재생가능한 자원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성과를 이룩하기 위하여 몇십년이 걸렸다. 아이슬란드는 강과 화산을 전력생산을 위해 오랫동안 개간해왔다. 총리인 Haarde는 대체 에너지에 대한 자국의 성공을 다른 나라에 수출하기를 원한다. 그리고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되어, 아이슬란드 회사에서는 자국의 에너지 기술을 아프리카, 중국, 그리고 남부 캐롤라이나 등 다양한 지역에 수출하고 있다. 비록 아이슬란드가 지열이 풍부하고 인구가 적은 특별한 상황에 있겠지마는, 대통령은 아이슬란드를 바라봄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그래도, 환경문제를 이유로 시민들의 수입의 일부를 얻는 것은 일본과 영국보다는 스웨덴이 더 쉬울 것이다. 비록 서유럽과 일본은 환경에 대해서는 다른 나라보다 앞서있지만, 구식의 정치가들은 아직도 환경우선주의적 생각을 누그러뜨린다. 환경주의자들이 요청하고 정치인들이 내세우는 많은 사안과 공약들은 로비스트와 보수적 관료들에의해 거센 반발을 받는다. 반면에 영국의 토니 블레어는 환경을 자신의 상징으로 만들었고 앙겔라 머켈은 독일과 EU에서 기후변화 대책을 처음으로 제안하였다. 머켈과 블레어의 후임인 고든 브라운은 그들의 친환경 의제를 이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브라운은 그의 화력발전소를 지지와  Heathrow 공항의 새로운 활주로 있어서 비난받아왔고, 머켈은 탄소 방출에 대해서는 독일의 석탄, 제철 그리고 시멘트 사업을 언급하기를 꺼려해왔다. 니클라스 사르코지는 그 자신을 프랑스의 친환경적 대통령으로 내세우려 노력했지만 최근 유전자 변형 음식에 대해서 환경론자와 마찰을 겼었다. 그리고 일본의 야스오 후쿠다는 비록 그가 많은 일을 하기에는 집무기간이 너무 짧았지만, (일본이 주최하는 7월 G8 정상회담의 의제에 올라갈) 환경 과제를 최우선으로 만들었다.

변화를 좋아하는 습성은 다른곳에서 더욱 확실한데, 특히나 아시아가 그렇다. 호주의 최근 대통령선거에서는 정치적 기후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호주에서 두 번째로 오래 재임한 총리인, 대통령 당선에 실패한 존 하워드는 기업친화적인 것으로 유명했는데, 자국의 탄광산업을 지켜냈고 탄소거래를 ‘지구온난화에 대한 무조건반사’라고 비난하였다. 그의 라이벌이었던 노동당 후보인 케빈 러드는 시대정신에 더욱 잘 부합하는 사람이었다. 교토 의정서를 승인하겠다는 약속으로 유세한 후 그는 압도적으로 이겼고, 언론들은 이것을 "러드사태“라고 이름붙였다.

한국의 새 대통령인 이명박 또한 그의 재임중에 최고의 관심사로 환경을 꼽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명박은 가난하게 자라서, 한국의 가장 큰 복합기업인 현대의 수장으로 까지 올라왔다. 그리고 또한 한국이 철강, 정유와 그리고 각종 중공업에서 세계적인 리더로 성장하게 되는 산업화에 진입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다. 게다가 정치가로서는, 그를 국가적으로 유명하게 한 것은 그의 2002년과 2006년 사이의 재임기간에 서울을 환경 친화적 만들고자 한 그의 노력이었다. 그의 두드러지는 성과로는 1970년대에 콘크리트로 된 간선도로 아래에 있던 악취 나던 수로를 정화한 것이다. 한국인들은 이러한 우선순위를 이해한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53퍼센트의 국민들은 발전보다는 환경보호가 더욱 중요하다고 여긴다고 밝혀졌다.)

이명박같은 많은 아시아 대통령들은 아직 경제 성장이 모든 것을 해결해 줄것이라는 오래된 생각에 젖어있다. 특히 중국이 그렇다. 아무리 따져봐도 중국의 생태계는 심각하게 파괴되었다. 하지만 후진타오 주석은 중국의 환경오염이 저평가 되어있다는것을 이해하고, 더 이상의 환경파괴가 경제를 마비시키고 사회를 불안하게 할것이라는 입장을 내세웠다. 그는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야심찬 정책을 공개하였고, 지속가능함과 재활용에 근거한 “세포질경제“를 생각해 내었다. 또한 기후변화정책을 입법화하였다. ”이것은 다른 많은 나라에 비해 많이 앞서있는거이다“라고 홍콩의 영향력있는 두뇌집단인 Civic Exchange의 창립자인 Christine Loh가 말한다.

중국같은 급격히 산업화되는 나라에서는, 환경보호주의를 이끄는 것은 지역환경오염이다. 그러나 똑똑한 지도자들은 그러한 정서를 1순위의 국제적 환경문제인 기후변화에 진전을 보이도록 동력화 해야 할 것이다. “기후 변화는 우리시대뿐만 아니라 언제든지 매우 위력한 환경문제이다”라고 하버드 케네디 스쿨의 과학 기술 공익질서 프로그램의 책임자인 John Holdren이 말한다. 과거에는 개발 도상국들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기후 변화는 서구 산업화의 잔재이고, 그들자신은 무엇보다도 경제성장에 초점을 맞춰여 한다”며 논리적이지 않은 주장을 내세우며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그러나 지난해의 발리 기후 토론에서 Holdren은 “그것은 정말 바뀌었다”라고 말하였고, 그것은 기후변화의 결과가 이미 개발도상국에서 가뭄과 홍수, 그리고 빙화융해등으로 직접 느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우리는 기후변화가 이미 우리를 괴롭히고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에 대한 해법이 우리들내에 있다는것도 이해한다’라고 말합니다”

기후변화를 되돌리는 것은 새로운 정치적 사실에 대응하는데에 있어 현실주의가보다는 덜 하드코어한 환경주의자들인 오늘날의 대통령들이 풀어야할 숙제일 것이다. 예를 들어 러드는, 그린피스의 정책에 거의 맞지 않는, 오래된 나무들을 베어내는 것을 지지한다. 중국의 리더들은 2020년까지 30기가와트의 풍력발전소를 설치하기로 계획했다. 하지만 2006년에 그들은 90기가와트의 더 많은 화력발전소를 건설하였다. 이러한 이분법은 환경친화적 시대의 보증수표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그냥 부시에게 물어봐라.



===========================
세시간의 타임리미트 내에 후딱 해버린지라 뒤로가면갈수록 날린 흔적이 보인다... 잘못한 부분도 간간히 보이는데 그런건 포스팅 후에 조금씩 수정해야겠다. 이번 5월 첫재주 커버스토리는 친환경에 관심을 보이고있는 대통령들에 대한 내용이다. 인터넷 버전에는 도표가 안나와 있어 아쉬웠다(하지만 스캔하는것은 귀찮아서 패스~). 요즘 뉴스위크를 보면 이명박씨를 자주 등장시키는거 같은데, 대한민국의 인터넷여론과 비교해서는 너무나 긍정적이기 때문에 좀 어색하다.. 이번에도 역시 언급되었던데, 현대에서의 경력을 내세웠다. 근데 인터넷에서는 현대에서 무리하게 외국공사를 하려다가 돈 다 날려먹고 튀었다고 하던데-_-;;; 그리고 청계천 그것도 이끼랑 오물 제거하느라고 조낸 깨진다던데...흐음... 국내에서는 어찌되었건, 외국에서는 친환경적 대통령으로 선정되어서 좋게씁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 2] 그는 미국 타임지 환경영웅상을 수상하였다.



댓글

Holic Spirit :: Tistory Edition

design by tokiidesu. powerd by kakao.